본문 바로가기
교육

근대사회의 교육: 문예부흥기, 종교개혁기, 실학주의기

by banana99 2024. 1. 15.
반응형

안녕하세요. 교육을 공부하는 유다니엘입니다.

교육사를 공부하며 새롭게 알게 된 부분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오늘은 근대사회의 교육은 어떤 목적과 내용을 가졌는지 이야기하겠습니다.

priest

1. 문예 부흥기의 교육

14~16세기의 문예부흥기(르네상스기)는 문학, 철학, 미술, 음악 등의 문예를 포함하여 과학, 경제, 정치, 사회 등 인간생활 전반에 걸쳐 중세사회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인간해방운동, 사회개혁운동을 의미한다. 문예부흥기의 발생요인으로는 십자군원정의 실패로 기독교 권위가 추락한 것, 스콜라철학이 붕괴되는 현상, 지리상의 발견, 인쇄술의 발달, 전염병(페스트)의 전파로 사회가 붕괴된 사실 등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기존의 기독교 사상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인문주의적. 인간 중심적 세계관이 확산되고 새로운 교육적 흐름이 형성되었다.

인문주의는 개인적 인문주의와 사회적 인문주의로 구분된다. 르네상스기 초에는 개인적 인문주의 경향이 강했는데, 개인적인 교양을 함양하는 데에 교육목적을 두었기 때문에 자유로운 사고, 지덕체의 조화로운 발달, 개성의 신장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따라서 그리스 로마의 문학, 체육과 예술을 문헌을 통해 학습했다. 그러나 귀족적인 경향을 보이고, 키케로주의(키케로의 문체만을 추구하는 경향)로 변질 되었다는 안타까움이 있다.

이러한 개인적 인문주의를 비판하며 만들어진 사회적 인문주의에서는 사회성, 종교적 심성, 도덕적 함양 등을 주요한 교육목적으로 두고 고전과 성서문학, 어학, 역사, 지리, 체육을 교육했다. 학습자의 흥미와 능력를 중시했고, 이중번역, 연습과 반복이 강조되었다. 이는 민주적인 의식을 발전시켰다고 평가받는다.

 

2. 종교개혁기의 교육

중세 말부터 시작된 인간성 회복을 지향하는 움직임들로 인해 교회의 권위는 점점 실추되어가고 세속적 중앙집권적 통일국가가 성립하게 된다. 또한 상공업을 기반으로 새로운 시민계층이 형성되고, 십자군원정실패, 흑사병 창궐, 지리상의 발견, 과학의 발달 등 점차 다양한 변화가 나타난다. 13세기경부터 유럽에서 타락한 교회를 개혁하려는 노력이 전개되어 왔는데, 1517년 마틴 루터가 면죄부 판매 등의 행태를 비판하는 95개조 항의문을 발표하면서 종교개혁의 직접적인 불씨를 댕겼다.

구교와 신교는 교육적 특징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구교는 카톨릭 교회 지도자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만, 신교는 성 속 양 영역의 조화로운 근대적 기독교도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구교는 중세를 지배하는 데에 쓰였던 라틴어를 필수로 교육했고, 신교는 라틴어 외에도 성서교과와 체육, 4R’s(3R’s+종교), 수학, 논리학 등을 교육했다. 또한 구교에서는 남성에게만 교육의 기회를 부여한데반해 신교에서는 기회균등의 원칙이 뿌리내리기 시작했다. 이외에도 구교에서 체벌을 통한 엄격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교사교육과 중등교육에 영향을 주었다면, 신교에서는 학년별 학습조직이 시작되는 등 아이들의 발달단계를 고려하는 교육이 이루어지고, 초등보통교육과 여교사의 출현에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신교에 의한 교육령으로는 중앙집권적 특성을 지닌 최초의 근대적 의무교육령인 고타교육령과 , 지방분권적, 민주적 특성을 지닌 메사추세츠 교육령이 있다.

 

3. 실학주의기의 교육

17세기, 고대 문헌에만 의존하던 인문주의와 특정 영역에 집중된 종교개혁에 대한 반발로 실학주의기의 교육이 발생하게 된다. 상공업이 발달하고, 신항로가 개척되고, 나침반과 망원경이 발견되는 등의 변화와 시대흐름 속에서 실제 세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철학, 과학이 발달했으며 이 시기의 교육은 크게 세 가지로 전개된다.

먼저 인문적 실학주의는 인문주의에서 실학주의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경향을 가지고 있다. 도덕적, 종교적, 사회적, 과학적 지식을 습득하여 실생활에서 활용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교육목적으로 하여 고전어와 실생활 관련 과목을 교육했고, 아동의 흥미와 능력을 중시하여 개별학습 등 근대적 교육법을 강조했다. 대표적인 사상가로는 베지오, 비토리노, 구아리노 등이 있다.

두 번째 사회적 실학주의는 실제 사회에 유능한 신사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목적으로 하였다. 서적이 아닌 사회적 경험과 활동을 교육내용으로 삼았으며, 암송을 넘어서 이해하고 판단하여 실행하는 것을 강조했다. 대표적인 사상가로는 몽테뉴, 빔펠링 등이 있다.

마지막으로 과학적 실학주의는 자연적 법칙에 따라 자연적 개인, 사회를 발전시키는 것을 교육목적으로, 모국어와 함께 자연과학과 사회과학 등을 강조했다. 교육방법으로는 자연과학, 심리학에 기초로 한 감각을 통한 학습이 있으며, 대표적인 사상가로는 멀캐스터, 베이컨, 라트케, 코메니우스 등이 있다. 이 중 코메니우스가 제시한 교육방법적 원리는 서양교육사상의 발전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루소, 페스탈로치 등 거의 모든 아동 중심적 진보적 교육사상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14~16세기 르네상스기는 문예부흥, 새로운 인문주의 확산과 교육 변화를 가져왔다. 종교개혁기에서 교회의 위상 하락과 구교, 신교의 교육 차이가 발생되었다. 17세기 실학주의기에서 세 가지 교육 접근 방식이 발전 하였는데, 인문적 실학주의는 실생활 능력을 강조했으며, 사회적 실학주의는 유능한 시민 양성을, 과학적 실학주의는 자연법칙 기반의 교육 목적을 강조했다. 이로써 교육은 더 현대적이고 다양한 영역을 고려하는 방향으로 진화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