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교육을 공부하는 유다니엘입니다.
교육과정을 공부하며 새롭게 알게 된 부분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오늘은 숙의 교육과정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이론 중심 교육과정의 한계와 필요성
숙의 교육과정 개발을 이해하기 위해서 이전까지의 교육과정 개발과 어떤 차이를 두고 있는지 아는 것은 중요하다. Schwab이 처음 숙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기 이전까지 교육과정 개발과 설계에 있어 주된 방법은 심리학, 뇌과학 등 타 분야의 이론과 연구 결과를 가지고 교육과정 개발에 적용하는 식이었다. 특히 이 과정에서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이론은 하나의 원칙, 원리를 제시하고 그것을 잘 적용한 교육과정은 좋은 교육과정이라는 식으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실제 교육 현장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설계하는 것이 그 원칙과 원리를 따라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 숙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주요한 이유였다.
숙의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적 기반: Schwab
Schwab의 이론에 따르면,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은 이론적 탐구의 문제가 아닌 실제적 탐구 문제이다. 이는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다루어야 하는 각 요소와 대상이 상황적, 개별적이며 가변적인 특성을 갖는다는 점을 시사하는데, 이에 따라 사람들은 일정한 해결책의 가이드라인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관련된 집단 또는 개인의 의사소통 과정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게 된다. 이때 이루어지는 탐구와 판단 및 선택, 의사소통 등 다양한 형태의 의사 결정 과정을 숙의라는 용어로 정의하고 있다. 그는 예술가의 행동처럼 당시의 상황과 환경에 맞추어 행위하는 것, 즉 기예를 이용하여 교육과정 개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 기예는 이론을 보충하는 실제적 기예와 이론과 실제를 절충하는 절충적 기예로 구분되는데, 이 두 종류의 기예를 적절히 선택하여 실제적, 준실제적, 절충적인 문제 해결을 이루어낼 수 있다. 각각의 문제 해결 방식의 종류는 당면한 실제적 문제만을 고려한 해결(실제적), 다른 실례를 참조하여 비슷한 상황의 대안을 자신의 실제적 문제와 비교하여 적용하는 해결(준실제적), 이론적 요소를 선택 및 변형함으로써 이론을 자신의 실제적 문제에 절충시키는 해결(절충적)이다.
자연주의 모델과 문제의 유형과 접근 방법
그의 논의를 이어 숙의 기반의 교육과정 접근을 연구한 Walker는 Eisner와 미술과 교육과정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한 경험 가운데 실제적인 상황에서 전통주의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은 그 의도대로 작동하지 않고 사람들에게 자신들의 의도를 설명하기 위한 후차적 과정으로 이용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에 그는 관련자들의 강령과 추가로 주어지는 정보를 갖고 숙의가 이루어지며, 다시 정치적 정책이 이 숙의에 영향을 미쳐 최종적으로 교육과정이 설계된다는 자연주의 모델을 구체화하였다.
Reid는 교육과정을 숙의의 과정으로 보는 이론을 수용하여 교육과정에 대한 접근 방식을 이론적, 절차적, 숙의적 탐구로 구분하였고 이중 숙의적 탐구는 가치 갈등 상황의 실제적이고 불확실한 문제에 대한 도덕적 탐구라고 말했다. 또 McCutchen은 이전의 숙의 교육과정 개발을 연구한 이들과 달리 개별 숙의의 개념을 제시하여 교실 수준에서 교사가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행위를 설명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는 숙의를 개별 숙의와 집단 숙의로 나누었다.
숙의 기반의 교육과정 개발을 논의하는 흐름의 필요성은 매우 뚜렷하다. 이론이 실제 삶의 상황에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나는 Schwab이 말한 문제의 해결 방식 중 실제적 해결이나 준실제적 해결은 여전히 실제 교사들의 선택지와 멀다고 생각한다. 교사들은 자신의 교실에 적용할 교육과정을 개발함에 있어 이론의 도움을 받을 수 있고 사실은 그 도움이 필요하다. 혼자서 자신이 해결할 실제적 문제와 맞서는 것은 분명 의미가 있겠지만 실제적 문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그 문제의 해결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다양한 기존 연구와 이론을 참고하는 것이 꼭 필요할 것이다.
숙의 교육과정은 이전의 교육과정은 실제 교육현장에서 제대로 역할하지 못한다는 비판 속에서 제시되었다. Schwab는 숙의 교육과정의 이론적 기반을 제시했으며, 기예를 실제적 기예와 절충적 기예로 나누어 체계화했다. 또한 Walker와 Eisner는 숙의 기반의 교육과정 접근을 연구했다. Reid와 McCutchen 역시 숙의 교육과정을 더 발전시켰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클로즈 교수법: 유리드믹스, 솔페즈, 즉흥연주 (1) | 2024.01.16 |
---|---|
6학년 미술 '마음을 움직이는 광고' 백워드 설계 (2) | 2024.01.16 |
20세기 전반기 미국의 교육철학 (1) | 2024.01.15 |
전통철학과 교육: 관념론, 실재론, 프래그머티즘 (1) | 2024.01.15 |
교육철학의 의미: 철학의 기원, 교육철학의 탄생 (0) | 202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