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63

영어 자음 체계: 성문의 상태, 조음방식, 조음위치 안녕하세요. 교육을 공부하는 유다니엘입니다. 영어교육에 있어 한국인에게 어려운 부분 중 하나는 발음을 정확하게 하는 것입니다. 영어 자음이 어떻게 발음되는지를 알고, 분류할 수 있다면 정확한 발음에 도움이 됩니다. States of the Glottis Place of Articulation Manner of Articulation Voiced Bilabial Stop (Plosive) Voiceless Labiodental Nasal Interdental Fricative Alveolar Affricate Palatal Liquid Velar Glide Labiovelar Glottal 모든 소리는 larynx 위의 공기 통로인 vocal tract 안 어딘가에서 만들어진다. vocal organs 들.. 2024. 1. 16.
코다이교수법: 손기호, 리듬음절, 교수학습과정안 안녕하세요. 교육을 공부하는 유다니엘입니다. 음악교육을 공부하며 새롭게 알게 된 부분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오늘은 코다이 교수법과 관련된 개념을 다루겠습니다. 코다이와 음악교육 코다이의 생애: 졸탄 코다이(1882–1967)는 음악 교육과 코달리 방법의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진 헝가리의 작곡가, 민족 음악학자, 음악 교육자였다. 코다이는 1882년 12월 16일, 헝가리의 케케메트에서 태어났다. 그는 초기에 음악에 관심을 보였고 부다페스트 음악 아카데미에서 공부했고 후에 교수가 되었다. 코다이는 유명한 작곡가이자, 음악 교육의 열정적인 교육자였다. 그는 모든 사람들이 높은 수준의 음악 교육을 받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음악적 문해력: musical litertacy로 악보를 읽고, 쓰는 능력.. 2024. 1. 16.
달클로즈 교수법: 유리드믹스, 솔페즈, 즉흥연주 안녕하세요. 교육을 공부하는 유다니엘입니다. 음악교육을 공부하며 새롭게 알게 된 부분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오늘은 달크로즈 교수법과 관련된 개념을 다루겠습니다. 달클로즈 교수법 에밀 자크 달크로즈 Dalcroze 에밀 자크-달크로즈 (1865–1950)는 음악 교육에 대한 달크로제 에리듬 접근법을 개발한 스위스 작곡가이자 음악 교육자였다. 달크로즈는 스위스 비엔나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는 제네바 음악원에서 공부했고, 그곳에서 후에 교수가 되었습니다. 음악 교육에 대한 그의 혁신적인 생각은 전통적인 교육 방법에 대한 그의 불만족으로부터 나타났습니다. 달크로즈의 주요 기여는 음악, 움직임, 그리고 리듬 사이의 연결을 강조하는 접근법인 달크로즈 유리듬의 발전이다. 목표는 신체적인 경험을 통해 음악에 대한 총체.. 2024. 1. 16.
6학년 미술 '마음을 움직이는 광고' 백워드 설계 안녕하세요. 교육을 공부하는 유다니엘입니다. 교육과정을 공부하며 새롭게 알게 된 부분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오늘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 6학년 미술 '마음을 움직이는 광고'단원을 교육과정 측면에서 분석하고, 교수학습과정을 백워드 설계한 내용을 다루겠습니다. 1. 단원 분석 단원명: 6학년 미술 - 마음을 움직이는 광고 가. 개관 이 단원은 학생들이 광고를 통해 다양한 발상 방법을 익히고, 시각 문화를 형성하는 이미지와 시각 매체를 이해하는 목적을 가진다. 또한 광고를 만들기 위한 발상을 하면서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고. 이를 활용하여 시각적 소통능력을 기르는 목적을 가진다. 체험활동에서는 생활 속의 다양한 광고를 살펴보며, 광고의 표현방법(연상하기, 바꿔보기, 없애 보기, 거꾸로 하기, 질문하기).. 2024. 1. 16.
숙의 교육과정의 등장과 핵심내용 안녕하세요. 교육을 공부하는 유다니엘입니다. 교육과정을 공부하며 새롭게 알게 된 부분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오늘은 숙의 교육과정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이론 중심 교육과정의 한계와 필요성 숙의 교육과정 개발을 이해하기 위해서 이전까지의 교육과정 개발과 어떤 차이를 두고 있는지 아는 것은 중요하다. Schwab이 처음 숙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기 이전까지 교육과정 개발과 설계에 있어 주된 방법은 심리학, 뇌과학 등 타 분야의 이론과 연구 결과를 가지고 교육과정 개발에 적용하는 식이었다. 특히 이 과정에서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이론은 하나의 원칙, 원리를 제시하고 그것을 잘 적용한 교육과정은 좋은 교육과정이라는 식으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실제 교육 현장에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설계하는 것이.. 2024. 1. 16.
20세기 전반기 미국의 교육철학 20세기 미국의 교육철학은 크게 4가지로 이야기할 수 있다. 진보주의, 본질주의, 향존주의, 재건주의를 바탕으로 발전한 교육에 대해 알아보자. 각 철학의 배경과 그로 인한 교육의 목표, 교육방법에 대해 이야기한다. 진보주의(progressivism) 20세기 초반 미국에서 전통적 형식주의와 성인중심적 교육관에 반발하여 아동의 흥미, 관심, 욕구, 적성, 능력 등을 교육의 중요한 원리로 삼아 전통적 교육의 폐해를 극복하려는 일대 교육개혁운동이다. 진보주의의 기본원리는 다음과 같다. 교육은 미래생활의 준비가 아니라 현재의 생활 그 자체이다. 학습은 아동의 흥미와 관련되어야한다.(흥미는 inter + esse로 핵심적이고 중요한 것, 필수적인 것들 사이의 관계, 연관성이다. 여기에서는 아이들의 수준과 지금 필.. 2024. 1. 15.
전통철학과 교육: 관념론, 실재론, 프래그머티즘 전통철학과 교육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철학에 따라 교육의 목적과 방향성이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이다. 관념론, 실재론 그리고 프래그머티즘과 관련하여 어떤 교육이 이루어졌는지 이야기하려고한다. 관념론과 교육 관념론이란 궁극적 실재는 정신 또는 관념, 의식이라고 보고, 진위, 선악, 미추의 궁극적 준거를 관념 혹은 의식에서 구하는 철학적 입장이다. 관념론의 어원 이데아는 완전한 형태, 불변의 원형을 의미한다. 관념론의 철학적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존재론적 측면에서 관념론자들은 세계를 정신과 물질로 이원화하고, 본질이나 실재를 정신에서 찾고자한다. 정신은 영원불변하고 질서정연하며 절대적, 보편적이지만 물질은 일시적이고 무질서하며 상대적, 특수적이라고 본다. 인식론적 측면에서 인식의 대.. 2024. 1. 15.
교육철학의 의미: 철학의 기원, 교육철학의 탄생 안녕하세요. 교육을 공부하는 유다니엘입니다. 교육학을 공부하며 새롭게 알게 된 부분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오늘은 교육철학의 개념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교육의 필연성과 인간 정치적 동물, 슬기로운 사람, 언어적 존재, 도구를 만드는 존재, 직립 보행하는 존재, 놀이하는 존재, 유목하는 존재 등 인간을 정의하는 말은 많다. 그리고 교육의 관점에서 인간을 정의하면 Homo Eruditio, 즉 교육적 존재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교육 없이 살아갈 수 없는 존재라는 의미이다. 그렇다면 왜 인간에게는 교육이 필연적일까? 인간은 출생 시 미성숙하여 오랜 시간 성장할 기간이 필요한데, 문화를 재획득해야하며. 가치를 지향하기 때문에 교육을 통해서 이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칸트는 인간은 교육을 필요로 하.. 2024. 1. 15.
근대 사회의 교육: 루소의 사상, 범애파 안녕하세요. 교육을 공부하는 유다니엘입니다. 교육사를 공부하며 새롭게 알게 된 부분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오늘은 근대사회의 교육 중 루소의 사상과 범애파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루소의 생애 및 사상 루소는 다른 계몽주의자들과 마찬가지로 여러 사회, 정치적 악폐를 비판하고 새로운 이상적 사회를 건설하려고 하였지만, 이상사회의 기초를 이성의 법칙보다는 자연적 감성에, 소수의 지적 귀족들보다는 절대다수의 서민에 두고자 하였다. 그는 자연으로 인간 본래의 모습을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인간의 선한 본성을 실제적으로 발현할 수 있게 하는 사회, 정치체제를 이상적 사회상으로 간주하였다. 그래서 자유와 평등이라는 천부인권이 보장되는 정치체제를 지향하여 기존의 불평등한 사회질서를 파괴하고, 교육을 통해 선한 자연본성.. 2024. 1. 15.
교육학자 브루너에 대해 안녕하세요. 교육을 공부하는 유다니엘입니다. 교육과정을 공부하며 새롭게 알게 된 부분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오늘은 교육학자 브루너의 생애와 그의 연구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배경설명: 1960년대 미국 교육에 대한 비판 1960년대 미국교육은 존 듀이 등의 경험 중심교육 과정에 대한 강조로 인해 기초 학문에 대해 경시하였으며, 과학의 급격한 발전이 교육에 반영되지 않았다고 비판받았다. 특히 소련의 스푸트니크호의 성공적인 발사로 경험중심 학교 교육에 대한 회의와 기초 학문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woods hall 회의에서는 학교 교육에서 과학교과를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를 고민하기 위해 교과 전문과들이 의논하였다. 브루너 소개와 주요개념 교육자 브루너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교육자인 제롬 브루너.. 2024. 1. 15.